리드머

주메뉴

최근 공지사항 및 SNS 링크

통합검색
  • Twitter
  • Facebook
  • Youtube
  • 통합검색

컨텐츠

Feature

  1. Home
  2. Feature
필청 '레게 + 힙합' 퓨전 앨범 10선
강일권 작성 | 2015-07-09 19:32 업데이트 | 추천추천하기 18 | 스크랩스크랩 | 52,117 View



글: 강일권



알려졌다시피 레게 음악과 레게 뮤지션, 특히, 자메이카의 DJ들을 빼놓고는 랩/힙합의 탄생을 논할 수 없다. '힙합의 아버지'라 불리는 쿨 허크(DJ Kool Herc)는 자메이카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그의 디제잉과 사운드시스템은 모두 자메이카의 파티 문화에서 초석을 다진 것이었다. 무엇보다 자메이카의 DJ들이 시전하던 전통적인 즉흥 보컬 기술 토스팅(Toasting)과 혼란스러운 시국에서 나온 레게 뮤지션들의 저항 정신 담긴 가사는 랩퍼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흥미로운 건 훗날 레게, 댄스홀 뮤지션들 역시 힙합 음악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관계가 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시너지가 폭발하기 시작한 건 '90년대 초반이었다.

 

샤바 랭스(Shabba Ranks), 부주 밴턴(Buju Banton), 닌자맨(Ninjaman), 주니어 레이드(Junior Reid), 바운티 킬러(Bounty killer), 시즐라(Sizzla), 섀기(Shaggy), 배링턴 레비(Barrington Levy), 이니 카모제(Ini Kamoze), 슈퍼 캣(Super Cat), 비니 맨(Beenie Man), 매드 코브라(Mad Cobra) 등등, 레게 퓨전 베테랑들이 종종 힙합 프로덕션 위에 보컬과 자메이카식 랩핑을 얹었고, 헤비 디(Heavy D), 모스 데프(Mos Def), 미스터 칙스(Mr. Cheeks), 다 부쉬 베이비스(Da Bush Babees), 스미프 앤 웨슨(Smif-N-Wessun), 션 폴(Sean Paul), 조이 배드애스(Joey Bada$$) 등의 유명 랩퍼들이 레게 음악의 영향을 대놓고 드러냈다. 특히, 당대 레게 뮤지션들의 힙합 퓨전은 곡 단위에서 매우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는데, 간혹 앨범 한 장을 통해 구현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앨범들은 비록, 장 수는 적었을지언정 대부분 아주 개성 있고 매력적인 음악을 담고 있다.

 

여기 그중에서도 꼭 들어봐야 할 '레게 + 힙합' 퓨전 앨범 10장을 골라봤다. (발매 연도순    


 

 

Shabba Ranks - Rough & Ready, Vol. 1 (1992)

 

가장 유명한 댄스홀 뮤지션 중 한 명인 샤바 랭스(Shabba Ranks)는 기존의 레게 보컬과 랩을 결합하여 최초로 '레게 랩'을 표방했던 인물이다. 퍽퍽하고 거친 음색과 직설적으로 표현하는 성적인 가사가 트레이드마크로, 본작은 힙합과 결합이 두드러졌던 일련의 결과물 -As Raw As Ever, Rough & Ready, Vol. 1, Rough And Ready Volume 2- 중 가장 깊은 인상을 남긴다. 특히, 첫 앨범 [Rapping with the Girls]에서 처음 선보였던 "Mr. Loverman"의 새로운 버전(싱글 히트한 버전)이 수록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미드 템포의 힙합, 알앤비 사운드와 레게가 듣기 편하게 어우러졌다. 이번에 소개하는 작품들 가운데 가장 대중적이면서도 본격적인 레게 + 힙합 퓨전의 효시가 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Snow - 12 Inches of Snow (1993)

 

1993년 세계 대중음악계를 들썩이게 했던 싱글 "Informer"의 주인공 스노우(Snow)는 자메이카 출신도 아니고, 흑인도 아니었지만, 곡만 들었을 땐 이를 전혀 가늠할 수 없을 만큼 완벽한 자메이칸 랩을 구사하여 화제를 모았다. 그를 발굴하고 본 데뷔작을 총 프로듀싱한 인물은 주스 크루(Juice Crew)의 엠씨 샨(MC Shan)이었다. 시종일관 숨 쉴 틈 없이 쏟아붓는 레게 랩핑과 폭행죄로 복역 후, 밀고자를 향해 복수를 다짐하는 내용의 가사가 맞물려 색다른 감흥을 안긴 "Informer"를 비롯하여 투박한 리듬의 힙합 프로덕션 곡들이 주가 되는 가운데, 다분히 대중을 의식한 듯한 팝, 알앤비 어프로치 트랙 "Girl I've Been Hurt" "Hey Pretty Love" 등도 수록되었다. 당시 레게와 힙합 씬에 신선함을 안긴 작품임과 동시에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레게 + 힙합 퓨전 앨범이기도 하다.


 

Ini Kamoze - Lyrical Gangsta (1995)

 

1981년에 데뷔한 베테랑 이니 카모제(Ini Kamoze)가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건 '94, 레게 힙합 트랙인 "Here Comes the Hotstepper"가 히트하면서부터다. 당시만 해도 신인이었던 프로듀서 살람 레미(Salaam Remi) 6개의 옛 곡들을 기가 막히게 샘플링하여 만든 이 곡의 성공 이후 내놓은 본작에서 카모제는 더 공격적으로 레게와 힙합 퓨전을 시도했다. 앨범엔 힙합 프로덕션을 추구한 곡과 댄스홀 곡이 비슷한 비율로 수록되었는데, 시작과 끝을 맺는 건 물론, 전반적인 분위기를 주도하는 것 역시 힙합이다. 특히, 8번까지 이어지는 둔탁한 붐뱁(Boom bap) 사운드와 카모제 특유의 냉소적인 레게 보컬의 조합은 상당한 감흥을 안긴다. 갱스터 기믹과 레게의 조화도 흥미롭고, 탁월한 실력의 랩퍼들인 나인(Nine)과 구루(Guru)의 조력은 카모제의 음악적인 시도를 더욱 빛나게 했다.


 

Mad Lion - Real Ting (1995)

 

영국 태생의 매드 라이온(Mad Lion) '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 사이에 활발했던 댄스홀 무브먼트의 선봉장 중 한 명인 슈퍼 캣(Super Cat)과 인연을 통해 커리어를 시작했다. 이후, 케이알에스 원(KRS-One)이 이끄는 부기 다운 프로덕션스(Boogie Down Productions)와 깊은 유대 관계를 맺으면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전개해나갔는데, 그가 이 데뷔작에서 선보인 음악은 프로덕션적으로 이전까지 레게 + 힙합 퓨전 결과물들과는 사뭇 달랐다. 그동안 이 계열의 앨범들이 힙합과 더불어 레게, 댄스홀 사운드의 비중도 어느 정도 고려하는 편이었다면, 본작은 철저하게 힙합 비트로만 완성됐다. 케이알에스 원, 케니 파커(Kenny Parker), 매드 라이온이 함께 만든 음악들은 당대 이스트코스트 붐뱁 힙합의 전형적인 감흥을 고스란히 전해주고, 자메이카식 발음과 속어를 동원하여 공격적으로 뱉는 라이온의 레게 랩핑도 깊은 인상을 남긴다. 레게 + 힙합 퓨전뿐만 아니라 '90년대 붐뱁 힙합으로써도 수작이다 


 

Patra - Scent of Attraction (1995)

 

개성과 실력으로 무장한 여성 랩퍼들이 점점 등장하여 세를 넓혀가던 1993, 자메이카 킹스턴 출신의 댄스홀 싱어이자 랩퍼인 패트라(Patra)는 레게 + 힙합 퓨전 음악을 시도한 데뷔 앨범 [Queen of the Pack]을 통해 독자적인 영역을 점할 수 있었다. 그리고 2년 후 발표한 본작에선 보다 적극적인 장르 간의 조합을 추구했고, 당대 알앤비 스타일까지 적절하게 녹이며 인상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특히, 앨범 내내 자메이칸 랩핑과 레게 보컬, 그리고 알앤비 보컬 스타일을 자유자재로 오가는 패트라의 역량이 눈부시다. 그레이스 존스(Grace Jones)‘81년 명곡 "Pull Up to the Bumper”를 펑크와 힙합 기운으로 재가공한 동명의 곡을 비롯하여 강렬한 리듬 파트를 강조한 붐뱁 비트의 “Dip & Fall Back“, 재즈 뮤지션 톰 스캇의 어반한 트랙 “Shadows”를 샘플링하고 알앤비 싱어 애론 홀(Aron Hall)이 피처링한 “Scent of Attraction” 등은 대표적인 예다. 레게 + 힙합 퓨전에서뿐만 아니라 여성 힙합사에서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작품이다.


 

Capleton – Prophecy (1995)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라스타파리 운동(Rastafari Movement)의 정신을 가사에 담는 캐프레톤(Capleton)은 한때 반동성애 가사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역시 레게와 댄스홀 역사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뮤지션이다. 그의 다섯 번째 정규작인 [Prophecy]는 힙합의 성지 데프 잼(Def Jam)에서 발매됐듯이 캐프레톤의 커리어에서 가장 힙합 퓨전이 도드라지는 앨범이다. 전반적으로 샘플링에 기반을 둔 힙합 프로덕션과 퍼커션을 강조한 트랙들이 주도하는 가운데, 캐프레톤은 시종일관 삶과 세상을 바라보는 자신의 철학과 종교에 근거한 정신적 측면을 밀어넣는다. 힙합 명곡 "The Symphony"에도 쓰여 유명한 오티스 레딩(Otis Redding) "Hard to Handle"을 샘플링한 "Wings of the Morning"과 슬릭 릭(Slick Rick) "Children's Story"를 샘플링한 "Tour (Lil Jon & Pauls Mix)" 등이 본작의 성향을 대변하며 좋은 반응을 얻었다. 특히, "Wings of the Morning"의 리믹스 버전에는 우탱 클랜(Wu-Tang Clan)의 메쏘드 맨(Method Man)이 조력하여 감흥을 더하기도 했다


 

 

Ruffa - A Diamond In The Ruff (1996)

 

게펜 레코즈(Geffen Records)를 통해 발표된 러파(Ruffa)의 이 앨범은 앞서 언급한 매드 라이온의 [Real Ting]과 비교하며 듣는 맛이 쏠쏠하다. 철저히 ‘90년대 힙합 프로덕션 위에 자메이칸 랩핑을 얹어 완성했다는 점에서 그렇다. 다만, 스타일 면에서 차이가 있는데, [Real Ting]이 로우(Raw)한 붐뱁 힙합 사운드 위주였다면, [A Diamond In The Ruff]‘96년 당시의 힙합 스타일 대부분을 껴안았다. 물론, 핵심은 이스트코스트 힙합이었지만, 최대한 샘플의 멜로딕한 부분을 살리는 방식으로 루프를 짜거나 알앤비 보컬로 후렴구를 짜고, 후반부의 몇몇 트랙에서는 웨스트코스트 특유의 멜로딕한 신스 라인을 포개는 등, 보다 대중적이고 매끈하게 마감됐다. MCA 레코즈와 계약하고 앨범을 준비 중이던 알앤비 싱어 타샤 홀리데이(Tasha Holiday)가 피처링한 싱글 “Don't You Worry”는 본작의 음악적 성향을 대표적으로 드러내주는 곡이다. 전반적으로 어반한 무드의 비트와 그로울링 짙은 러파의 레게 랩핑이 어우러지며 자아내는 맛이 절묘하다    


 

Bounty Killer - My Xperience (1996)

 

'90년대 댄스홀 스타 중 한 명인 바운티 킬러(Bounty Killer)는 한해에만 석장이 넘는 앨범을 발표할 정도로 왕성한 창작욕을 자랑해왔다. 그런 그의 가장 큰 성공작이자 힙합을 많이 흡수한 앨범이 바로 본작이다. 여기 소개한 작품 중에선 '레게 + 힙합' 퓨전 곡과 정통 댄스홀 곡이 제일 비슷한 비중으로 나뉘어 있는 편이지만, 싱글로 발표한 두 곡이 "Hip-Hopera""Change Like the Weather"인 것만 봐도 알 수 있듯이 바운티 킬러가 주된 테마로 잡은 건 힙합이었다. 전반적으로 둔탁한 이스트코스트 힙합 프로덕션과 레게가 어우러지는 가운데, 바운티 킬러는 빈곤과 폭력으로 얼룩진 세상을 노래하고, 르자(RZA), 에릭 셔먼(Erick Sermon), 와이클레프 쟝(Wyclef Jean) 등의 걸출한 프로듀서들과 푸지스(Fugees), 래퀀(Raekwon), 버스타 라임즈(Busta Rhymes), 제루 더 다마자(Jeru the Damaja) 등의 출중한 랩퍼들이 곁에서 합을 맞췄다. 특히, 푸지스가 조력한 "Hip-Hopera"는 클래식, 레게, 힙합이 절묘하게 맞물린 곡으로 당시 차트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었다.


 

Born Jamericans – Yardcore (1997)

 

워싱턴 출신의 노치(Notch)와 에들리 샤인(Edley Shine)이 결성한 듀오 본 자메리칸스(Born Jamericans)'90년대 초반, 레게 힙합을 표방하며 등장했다. 이들이 1994년에 인디 레이블 딜리셔스 바이닐(Delicious Vinyl)을 통해 발표한 데뷔 앨범 [Kids From Foreign]은 듀오의 존재감을 알리기에 충분할만큼 좋은 성과를 냈는데, 3년 뒤에 나온 이 두 번째 앨범에서 두 장르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졌다. 루프를 제한하고 좁게 뿌려지는 스네어를 강조한 비트가 주도하는 가운데, 레게 본연의 리듬과 멜로딕한 루핑, 그리고 알앤비 스타일의 보컬을 가미한 (당시로서는) 대중친화적인 힙합 비트가 간간이 수록되었으며, 톤이 다른 두 멤버의 미끈한 자메이칸 랩핑이 잘 어우러졌다. 사운드와 가사 면에서 투박하면서도 관능미가 흐르는 레게 힙합 트랙들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시기적으론 '레게 + 힙합' 퓨전의 시도가 끝물에 이르던 때를 장식한 앨범이다  


 

Damian Marley & Nas - Distant Relatives (2010)

 

그동안 '레게 + 힙합' 퓨전이 한쪽 장르 뮤지션의 주도로 이루어졌던 것과 달리 본작은 양쪽의 대표적인 뮤지션들이 뭉쳐서 완성했다는 점만으로도 흥미롭고 의미있는 결과물이다. 게다가 완성도까지 뛰어나 음악계는 물론, 두 장르의 마니아들 역시 열광하게 했다. 스테판 말리(Stephen Marley)가 만든 3곡을 제외하고 전체 프로덕션을 책임진 데미안 말리(Damian Marley)는 업템포와 다운템포를 오가고 힙합과 레게의 특징적 요소들을 뽑아 절묘하게 배합했으며, 나스와 말리는 흑인의 정신적 고향인 '아프리카'를 주제로 그들이 겪고 체감한 이야기를 호소력 있게 풀어낸다. 특히, 에티오피아의 고전 연주 트랙인 "Mulatu Astatke"를 샘플링하여 역동적인 브레이크 비트로 재탄생시킨 음악 위에서 둘의 위대한 결합을 자축하고 천명하는 "As We Enter"는 본작의 음악적 성취를 대변함과 동시에 압도적인 감흥을 선사한다. 예동현 필자가 지난 리드머 리뷰에서 평했듯이 '본작의 훌륭한 업적은 두 뮤지션의 커리어에서 또 하나의 이정표가 되었으며, 진정한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기준을 제시했다.' 그야말로 오랜 기간 잊혔던 '레게 + 힙합' 퓨전의 진수를 2000년대에 맛보여준 작품이다. 

 


 

비록, 앨범 단위는 아니지만, 여전히 두 장르의 결합은 계속되고 있다. 아마도 힙합 뮤지션들과 가장 많이 작업한 레게 뮤지션일 배링턴 레비는 2011년에도 메인스트림 서던 힙합 비트를 추구한 레게 퓨전 싱글("Gangsters")을 내놓은 바 있다. 한국에서도 루드 페이퍼(Rude Paper), 엠타이슨(M.Tyson), 스컬, 뉴올리언스 등등, 레게 퓨전을 추구하는 뮤지션들이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바, 언젠가 꼭 힙합하고만의 퓨전이 아니더라도 한국의 '레게 퓨전 걸작선'을 뽑을 수 있는 날이 오길 고대해본다.




















- Copyrights ⓒ 리드머(www.rhythmer.net) / 글: 강일권
모든 리드머 콘텐츠는 사전동의 없이 영리적으로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코멘트

  • 등록

이전 목록 다음

관심 게시물

  1. 로딩중
GO TOP

사이트맵

리드머(RHYTHMER) | ⓒ 리드머 (Rhythmer). All rights reserved.

이메일 GO TOP